(韓文) 法性偈
海東 新羅國 義湘 祖師 創造
法性圓融無二相(법성원융무이상) 諸法不動本來寂(제법부동본래적)
無名無相絶一切(무명무상절일체) 證智所智非餘境(증지소지비여경)
眞性甚深極微妙(진성심심극미묘) 不守自性隨緣成(불수자성수연성)
一中一切多中一(일중일체다중일) 一卽一切多卽一(일즉일체다즉일)
一微塵中含十方(일미진중함시방) 一切塵中亦如是(일체진중역여시)
無量遠劫卽一念(무량원겁즉일념) 一念卽是無量劫(일념즉시무량겁)
十世九世互相卽(십세구세호상즉) 仍不雜亂隔別成(잉불잡란격별성)
初發心時便正覺(초발심시변정각) 生死涅槃相共和(생사열반상공화)
理事冥然無分別(이사명연무분별) 十佛成佛大人境(십불성불대인경)
能仁法身三昧中(능인법신삼매중) 繁出如意不思議(번출여의부사의)
雨寶益生滿虛空(우보익생만허공) 衆生隨器得利益(중생수기득이익)
是故行者還本際(시고행자환본제) 叵息妄想必不得(파식망상필부득)
無緣善巧捉如意(무연선교착여의) 歸家隨分得資糧(귀가수분득자량)
以陀羅尼無盡寶(이다라니무진보) 莊嚴法界實寶殿(장엄법계실보전)
窮坐實際中道床(궁좌실제중도상) 舊來不動名爲佛(구래부동명위불)
한문 법성게 (法性偈) 봉독종 (奉讀終) (3번)
(한글) 법성게. 해동 신라국 의상 조사 창조
법성(法性)은 둥글어 둘 없는 모습이며
모든 법(法)은 움직임 없어 본래 고요하네
이름도 모습도 없고 일체가 다 뛰어남(으뜸)이니
깨달은 곳 증거하는 슬기는 나머지 경계가 아닐세
깊고 깊음의 끝이 다한 미묘한 진성(眞性)이여
스스로 성(性)을 지키지 않으면 연(緣)을 따라 이룰 수가 없네
하나 가운데 전체가 있고 많은 가운데 하나 있어
하나가 곧 전체이고 많은 것이 하나이니
하나의 작은 티끌 속에 우주를 머금었고
전체의 티끌마다 우주가 다 들었네
한없는 먼 시간이 곧 한 생각이며
한 생각이 곧 한없는 시간이다
십거(十鉅)와 일적(一積)은 한 덩어리인 듯해도
그대로가 아닌 어지러운 섞임이나 따로따로 나눔을 이루네
첫 발심했을 때가 곧 바르게 깨달은 때이며
생사와 열반이 함께 화답한 모습이다
이치와 사물은 보이지 않는 그러한 관계로 분별이 없으나
열 부처님을 이루는 부처님들은 대인의 경계이다
능력 있는 어진이가 법신삼매 중에
번성케 하여 내어놓은 일이 뜻대로 되게 하는 부사의여
이익된 삶의 보배로운 비가 허공에 가득하니
그릇 따라 중생들은 이익을 얻어 가네
그러므로 행자여 돌아가라 근본 뿌리 만남으로
망상을 마침내는 쉬어라 반드시 얻을 것이 없느니라
인연 없는 교묘한 선(善) 일이 뜻대로 되게 붙잡으소
재물과 양식 얻어 때에 따라 갈라져 고향으로 돌아가라
다함이 없는 보물 다라니로서
법왕궁을 열매 맺어 장엄한 우주를 펼쳐보세
깨달음의 자리는 실지의 경우 성단 중심혈에 앉는 것이네
이름하여 부처는 움직임 없이 예부터 다가왔네
한글 법성게 (法性偈) 봉독
저작권자 및 출처
한국보살불교법화연수원 http://www.brahmanedu.org/hang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