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개천골 운동성(Craniosacral Motion)
두 개천골움직임은 인간이 살아있는 동안 연속적으로 계속해서 움직이며, 정상적인 두 개천골 리듬은 분당 6-12회 주기를 갖는다.
그러나 몸에 이상증세가 보이거나 병적인 상태에서는 정상적인 리듬보다 느리거나 빠르게(6번 미만 또는 12번 이상) 나타난다. ex) 주의산만한 아이들의 경우 열을 동반하며 비정상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볼수 있다.
두 개천골리듬은 심리적 상태에 따라 변화되는 심장박동 및 호흡처럼 변화되지 않는다.
두개골이 넓어질 때(팽창,굴곡) 에는 천골 첨단부는 전방으로 움직이며, 반대로 두개골이 좁아질 때(신전,수축)에는 천골첨은 후방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굴곡의 끝과 신전의 시작 사이에 중립위치라는 과정이 생기며, 이를 이완상태라고도 하며 약간 정지되는 상태가 나타난다.
두 개천골리듬은 진폭이 약할 경우 그 사람의 생명력이 저하된 것을 의미하며, 면역력이 약화되고 항상성이 떨어져 있음을 말한다. 또한 비대칭적인 움직임이 없어지고 정상적인 움직임이 생길 때 그 사람은 점점 호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척추신경추나의학회 두개 · 천골 치료법 2006.
저자: JOHN E. UPLEDGER, D.O., F.A.A.O.
JON D. VRENDEVOOGD, M.F.A.
역 자: 이 주 강 / 감 수: 신 준 식
'CST두개천골치유와 힐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 낭포 (파장) (3) | 2025.03.15 |
---|---|
두개천골요법과 근육. (0) | 2025.03.15 |
우리 뇌는 항상 움직이고 있다. (1) | 2025.03.15 |
CST(두개천골요법)의 歷史역사 2 (4) | 2025.03.15 |
CST(두개천골요법)의 歷史역사1 (0)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