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0

수련자의 마음

수련자의 마음 수련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비로운 마음과 건강한 신체, 넓고 큰 지혜를 얻도록 한다.우리가 수련하는 것은 심신이 건강하여 지고, 사회적으로 유익하게 되기 위함이다.자신의 사욕과 탐욕을 버리고, 능히 사람들을 도와 고난에서 벗어나도록 하며,자비롭고 진실한 마음으로 사람들을 도와 건강하고 지혜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 이끌어주어야 한다.    진정한 수련이란? 한 사람이 기법技法을 좀 배워서 병을 치유하는 것이 아니라, 참된 사람이 되는 道理도리를 알고실천하며, 마음을 깨끗이 정화淨化하는 것이다. 우리가 수련하는 것은 심법(心法)이며, 오직 참된 사람이 되어야만 비로서 질병과 마음의 고통(스트레스, Stress) 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자신안에 강대한 우주 에너지장을 형성하여 막혀있는..

CST 접형골 풀어주기(들어올리기)

CST 접형골 풀어주기(들어올리기)    접형골은 사람의 두개골(두개저)의 가장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만약 이 접형골이 어떤 정신적 물리적인 충격, 과로, 스트레스등..으로 인해 뒤틀리거나 관련된 근육의 과긴장유발, 운동성의 制限제한을 일으키게 된다면 두개천골계 전체의 움직임에 많은 문제를 야기 시키게된다. 그리고 두개골을 구성하는 모든 뼈들에게도 균형을 틀어지게 하거나 좋지않은 영향을 가하게 된다.특히 전두골과 두정골, 측두골과 경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접형골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 두개골을 구성하는 모든 근육과 뼈에 영향을 미친다. 다시 말해 두개골의 중추로서 두 개천골운동에서의 핵심이라고 말할수 있다! 테크닉technic 실시 방법. 1. 눈의 양끝점에서 외측으로 약 2c..

CRI-두개저 풀어주기.

CRI-두개저 풀어주기- 현대인의 스트레스 및 심신건강에 있어 다양한 문제들을 해소할수 있는 효율적인 테크닉 두 개저 풀어주기의 가장 중요한 요점은 경추부와 두개골간의 압박과 긴장을 풀어주고 이완시켜(분리시켜) 우리 뇌를 중심으로 전신에 펼쳐져 있는 신경의 이완과 안정 그리고 뇌척수액의 흐름을 정상화 시켜주는 것 이다.(후두골 뼈 끝의 돌기=과상돌기에 가해지는 압박을 해소)  이곳이 긴장되거나 압박이 되면 초래하는 문제점들은 다양하게 나타나게 된다. 왜냐하면 이곳에 문제가 생기게 되면 중요한 뇌척수액의 흐름은 물론 뇌로 들어가는 혈액이나 혈류의 흐름 그리고 산소공급, 그밖에 우리의 뇌에 영양공급등에 문제가 생기어 여러 가지 다양한 패턴으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실례로 두통과 심리불안, 불면등이 그 대표..

양발 리듬 촉진하기.

양발 리듬 촉진하기 이 테크닉은 두개천골 리듬이 감지가 잘 안되는 분들이나 누구나 쉽게 배워서 활용할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 테크닉을 통해 전신의 균형이나 근막(근육)의 긴장된 부위를 찾아낼수 있으며, 좀더 숙련이 되고 손의 감각이 살아나면 에너지 낭포점까지도 찾아내어 어느부위에 에너지가 정체되어 있는지 어느 장부에 기능이 약화되었는지도 찾아낼수 있습니다. 방법은 양손으로 아킬레스건 아래쪽 뒷꿈치 부위를 잡고 힘의 방향을 약간 안으로 넣어주고, 그와 동시에 시술자 방향으로 전신의 근막을 살며시 당겨주면서(전신의 근막을 당긴다는 느낌으로) 잠시 그 자세를 유지하면 서서히 운동성이 일어나고 그와 동시에 긴장된 근육이 이완되고 균형의 회복과 함께 치유가 일어나게 됩니다. ☞ 단, 양손은 양발의 운동성 조절을 ..

CST- 천골 풀어주기

CST- 천골 풀어주기    바로 누운상태에서 한쪽 다리(무릎)를 굽히고 살며시 반대쪽 으로 넘기면서 피시술자의 다리사이로 천골첨(꼬리뼈 삼각부위)을 시술자의 손바닥에 올려놓습니다.그리고 다리를 원위치 하면서 굽혔던 무릎을 천천히 바닥에 내려놓습니다.(천골첨이 시술자의 중지와 무명지 사이에 있게 하며, 시술자의 손가락 끝은 천골저 바로 위에 있게 합니다.) 그리고 다른 한 손(가볍게 주먹쥔후 요추뼈를 손가락부위로 고정시킵니다- 손바닥쪽이 위를 향하게)은 피시술자의 요추 밑에 놓아 제5요추와 상부를 고정시키거나, 위 그림처럼 (양측 튀어나온 골반뼈(전상장골극)를 손과 팔(팔굼치) 부위로 안쪽방향으로 가볍게 고정시킵니다.그리고 요추를 고정시키면서 천골은 아래쪽(미방)으로 가볍게 끌어당깁니다. 천골저가 벌어지..

제 4뇌실 압박법(CV-4)

제 4뇌실 압박법(CV-4)- Compression of the 4th Ventricle     ☞ 후두골에 적용하는 테크닉 제 4뇌실을 압박하여 뇌실이나 뇌실안의 모든 신경중추를 이완, 안정시킴.뇌척수액의 움직임을 조절하고 두개골의 움직임 및 림프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고, 그 외 인체의 면역력을높이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 교감신경의 과긴장 완화 작용.두 개천골리듬이 감지되지 않을때는 이 자세만으로도(손만대고:10분이상) 효과 만점. 체내또는 머리에 열이 올랐을 경우 열을 내리는데 최고의 테크닉- 20-30분이상 열이 떨어지고 심박수가 안정되고 호흡이 안정될 때 까지 실시.- 열이 심할경우에는 여러차례 반복 실시하고 또는 병원진료 및 양약복용(해열제등)과 함께 실시하면 열을  내리고 심신을 안정시키는..

누운 자세에서 흉부부위로 두개천골리듬 리딩하기.

[누운 자세에서 흉부부위로 두개천골리듬 리딩하기] 손의 자세는 위의 그림과 같이 피시술자를 편안히 눕게한후 쇄골과 어깨, 흉부상측에 살며시 올리시면 됩니다.(상대에 따라서 손의 미세한 힘을 조금씩 달리 조절하시면 됩니다.)처음 받으시는 분들은 익숙하지 않으므로 동작에 앞서 미리 말을 건네주시면 긴장을 완화하는데 좋습니다. 먼저 두개천골 리듬과 흐름을 손으로 읽어낼 경우에 가장 중요한것이 시술자의 호흡의 안정과 편안함입니다. 시술자가 피로가 많거나 수면부족등으로 心身심신이 긴장되어있으면 리딩이 잘 안되는 것을 직접 체험해보게 되면 바로 알게될 것입니다.그리고 다음으로 자신의 생각과 의식을 피시술자와 하나로 일체화 시키는 것입니다. 힘들다고 생각되어질수도 있지만 반복적인 연습과 시술을 통해 누구나 體得체득이..

CST 브레인 리딩을 위한 손의 감각을 깨우는 방법들.

CST 브레인 리딩을 위한 손의 감각을 깨우는 방법들. 풍선을 불어 양손으로 풍선을 잡고 가볍게 밀었다 놓았다 해주기.손가락 끝 부딪히기 운동(말초신경 자극하기) 지감 운동(에너지 감 느끼기)-양손 손바닥을 마주보게 하고 벌렸다 오무렸다 하기.-양손 손바닥을 마주보게 하고 이번에는 서로 엇갈리면서 밖으로 안으로 원그리기. 자신의 머리를 양손으로 가볍게 감싼후 두 개천골 운동성 느끼기(운동성과 익숙해지기)평평한 탁자위에 랩을 올려놓고 그위에 가벼운 동전이나 물건을 놓고 당겨보기. 손가락 마디마디 풀어주고 어깨운동 및 스트레칭하기-손가락과 어깨가 굳어있으면 세션시 집중에 방해될수 있습니다.

두개천골 운동성 리딩 (브레인 리딩)

두개천골 운동성 리딩 (브레인 리딩) 위의 그림처럼 먼저 머리 전체를 가볍게 양손으로 감싸면서 엄지손가락을 접형골 부위 (눈썹과 눈꼬리의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에 살며시 촉지해 줍니다. 그런다음 5-10g의 아주 미세한 힘(손을 살며시 올린 느낌정도)을 넣어준후 잠시 심신을 안정시키고 편안히 하여 두개골의 움직임을 관찰하며(손으로 감지하며) 움직임이 일어날 때 까지 기다려 줍니다. 움직임이 일어나면 수축과 팽창되는 느낌, 그 외 균형 및 호흡, 상대방의 긴장상태를 느껴봅니다. 또한 발을 양손으로 살며시 감아쥔후(아킬레스건 밑으로) 힘의 방향을 안쪽으로 위에서처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며, 시술자 방향으로 살며시 당겨 전신의 균형 및 근막(근육)의 긴장부위를 느껴보아도 됩니다. CST요법은 믿음과 신뢰 그리..

에너지 낭포 (파장)

☆――― 에너지 낭포 (파장) 두개천골요법(cst)을 관심있게 보거나 접해보신 분이라면 한번쯤은 에너지 낭포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대체 에너지 낭포가 무엇이란 말인가? 어려운 말은 다 걸러내고 쉽고 간단히 설명한다고 하면 ! 한 생명이 엄마의 뱃속에서 자라고 있을 때부터 그리고 태어나고 살아가고 삶을 마칠 때 까지 그 한 생명은 수많은 물리적, 정신적, 육체적 그리고 더 깊게는 靈영적인 부분까지 상처를 받기 마련이다.그 상처가, 살아가고 어른이 되고 시간이 흘러가면서 치유가 되고 없어진 것처럼 보이지만, 우리의 잠재의식또는 세포조직속에 아주 미세한 상처라도 우리 신체의 어느곳에 기억되고, 그 기억된 상처가 건강할때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면역력이 약해지고, 특히 심신이 허약해진 상태이거나 신경이 ..

두개천골요법과 근육.

두개천골요법과 근육 우리 인체의 근육은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머리에서 발끝까지 그리고 내장기관까지 속해 있지 않은 곳이 없다. 그만큼 우리 몸에서 근육의 역할은 상당하고 무시할수 없는 처사이다. 그러면 두 개천골요법에서 근육은 어떠한 역할을 하며 우리 인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 것일까? 우리 몸은 두개골(뇌)에서 천골사이에 뇌척수액(C.S.F)이 쉬지않고 연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흐르면서 생성된 내부압력(반폐쇄수력,수압)으로 전신에 걸쳐있는 신경,근육,혈관등은 물론 호흡 및 감정적인 변화등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또한 그 움직임(압력)으로 인하여 전신에 분포되어 있는 근육,뼈를 비롯하여 모든 기관들이 미세하게 움직이며 살아있는 인체를 신비하게도 생명을 유지하고 건강하게 살수 있게 만들어준..

두개천골 운동성(Craniosacral Motion)

두개천골 운동성(Craniosacral Motion)  두 개천골움직임은 인간이 살아있는 동안 연속적으로 계속해서 움직이며, 정상적인 두 개천골 리듬은 분당 6-12회 주기를 갖는다. 그러나 몸에 이상증세가 보이거나 병적인 상태에서는 정상적인 리듬보다 느리거나 빠르게(6번 미만 또는 12번 이상) 나타난다.  ex) 주의산만한 아이들의 경우 열을 동반하며 비정상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볼수 있다. 두 개천골리듬은 심리적 상태에 따라 변화되는 심장박동 및 호흡처럼 변화되지 않는다. 두개골이 넓어질 때(팽창,굴곡) 에는 천골 첨단부는 전방으로 움직이며, 반대로 두개골이 좁아질 때(신전,수축)에는 천골첨은 후방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굴곡의 끝과 신전의 시작 사이에 중립위치라는 과정이 생기며, 이를 이완상태라고도 ..

우리 뇌는 항상 움직이고 있다.

우리의 뇌(두개골)은 일평생 쉬지않고 조수간만의 차이로 밀물과 썰물이 생기듯이 척수의 흐름에따라 수축과 팽창을 거듭하면서 뇌(두개골)를 중심으로 우리몸이 가지고 있는 혈액,뼈,근육,세포등..이 움직임과 생성과 소멸을 반복함으로 인해 우리는 건강을 유지하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척수의 흐름이 장애가 생기거나 어떤 물리적 심리적 충격등으로 인해 제한이 생기면  우리몸은조금씩 점점 문제가 생기고 결국에는 두개골의 움직임에 균형이 깨지고 불규칙화되면서 두개골과근육등이 석회화되고(굳어가고) 전신에 펼쳐져 있는 신경의 압박과 혈액순환장애등으로 인하여우리몸은 점점 생명력을 잃어가고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각종 질병이 생기는 것입니다.

CST(두개천골요법)의 歷史역사 2

CST(두개천골요법)의 歷史역사 2  CST(두개천골요법)의 국내 역사《Ⅱ》 국내의 CST 역사는 이제 겨우 18년여 남짓, 그 중심에서 말할 수 있는 것은 어떤 것보다 몸소 체험하며 새로운 세계를 열어간다는 것이었다. 일부 사람들의 비난과 질시를 무릎쓰고 오직 CST 미지의 세계를 탐구하며 자신의 체계를 확립한다는 것은 가치있는 일이며 의미있는 작업이었다. 심신상관의학(Mind-Body Medicine)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히포크라테스는 "우리 몸 안에 있는 자연능력이야말로 질병의 진정한 치유자이다."라고 이미 2400여년 전에 말했다. 원론적인 이론설명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임상경험만이 그 진실을 말해준다. 이것은 한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일이므로 정말로 신중한 자세로 임하여야 한다. 두..

CST(두개천골요법)의 歷史역사1

CST(두개천골요법)의 歷史역사1 CST(두개천골요법)의 국내 역사《Ⅰ》 1990년대 중반은 다양한 세기말의 휴유증들이 가시화되는 시기였다.혼돈과 진보와 발전의 교차점에서 이룩한 과학의 업적은 인류의 놀라운 변화를 가져왔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인 삶의 충족을 가져왔는가 하는 점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아놀드 토인비는 "20세기는 정치적 갈등과 과학기술의 발전시기로써가 아니라인류사회가 모든 인간의 건강을 실제 목표로 생각하는 시기로 기억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새 천년 밀레니엄을 맞이하여 막연한 불안감 속에서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일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웰빙 시대의 서막이 바로 이 무렵 수면위로 떠오르게 되었다. 21세기를 맞이하여 국내에 두개천골요법 CST가 소개된것도 이러한..